이제 오삼이가 세상에 나오기까지 남은 날짜는 11일..!!
올해 기준으로 육아수당은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등을 출산 이후 허겁지겁 알아보다가 놓치지 않기 위해 미리 한 번 정리해놓고자 한다.
부모급여, 아동수당 (+ 첫만남이용권)
알아본 바로는, 오삼이가 출산 한 이후에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아래와 같이 확인된다.
- 매 월 80만원 (부모급여 + 아동 수당)
- 일회성 30만원 (출산지원금)
- 200만원 바우처 (첫만남 이용권)
먼저 80만원에 대한 내용을 표로 그려보면..
2023년 기준 만0세에 해당하므로 매 월 80만원을 받을 수 있다. 아래는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관련 보도자료 링크이다.
-
부모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아동 출생일을 포함한 60일 이내에 부모급여를 신청해야 한다.
[ 오프라인 신청방법 ]
주민등록상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로 방문신청하면 된다.
[ 온라인 신청방법 ]
요즘은 온라인으로 쉽게 신청이 되는듯 싶다.
방법 1. 복지로 사이트 이용
복지로 홈페이지를 들어가서 서비스 신청을 눌러보니, 부모급여, 아동수당 등 여러 서비스를 쉽게 신청할 수 있게 되어있었다.
👉 복지로
부모급여 뿐만 아니라, 아동수당, 첫만남이용권(바우처) 역시 복지로 사이트에서 신청 가능하니 참고하자. 온라인 신청은 친부모인 경우에만 가능하고, 그 외에는 방문 신청만 가능하다고 한다.
방법2. 정부24 사이트 이용
복지로가 아닌 정부24에서도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를 통해 일괄로 처리할 수 있다.
👉 정부24
복지로는 신청을 원하는 서비스를 하나씩 선택해야 한다면, 정부24에서 제공하는 방식은 일괄로 처리되는 듯하여 좀더 간편할 것 같은 느낌이 있다.
출산지원금
출산지원금의 경우 보통 180일 이상 해당 지역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다. 지역마다 지원해주는 기준과 금액이 다를 수 있으므로 '임신육아종합포털 - 아이사랑'에서 꼭 한 번 확인해보면 좋을듯 싶다.
용인시에 거주하고 있기에 아래 세 번째 이미지는 용인시 기준 출산지원금에 대한 내용이다.
오삼이가 세상에 나온 뒤 정부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에 대해 한 번 알아보았다.
출산 이후, 실제로 신청해보면서 정리했던 내용과 다른 부분이 있거나 추가로 공유할 부분이 있다면 따로 포스팅을 작성해볼까 한다.
-
오삼아,
너 나오는 걸 축하한다고
나라에서도 크고 작은 지원금도 주는구나.
그거 받아서 기저귀, 분유 값으로 사용하면 남는게 있을까 싶네..
아빠가 더 열심히 일해야겠구나..
하하..😅
어쨌든 건강하게만 나와라~
2023년 3월 25일의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