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생후 28일 이내) 종합검진 종류

신생아 건강검진 예약


어제 오후에 오삼이 보러 가니 신생아실 선생님께서 종이 한 장을 주셨다. 건강 검진 예약을 위한 확인서였다.
목록에 여러가지가 있었는데, 어려운 용어가 섞인 검진은 뒤로 하고.. 신생아 눈 질환은 70명 중에 1명 꼴로 문제가 있을 수 있기에 선생님께서는 가능하면 받기를 권장하셨다.

눈 종합 검진에 대해 알아보면서, 신생아에게 필요한 무료/유료 건강 검진엔 뭐가 있는지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 한다.

지금부터 정리할 내용은 출생 후 입원기간(출생 후 28일 이내) 동안 진행하는 검사 에 대한 것이다. 영유아 건강검진(생후 14일 ~ 생후 71개월 이내)에 대해서는 따로 알아볼 예정이다.



신생아 종합 검진

생활법령정보 사이트에 들어가보니 신생아 건강관리 카테고리에 '건강검진 지원'에 대한 내용이 있었다.

[ 국가 지원 - 신생아 건강검진 ]
👉 선천성대사이상 검사 지원
👉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지원

선천성대사이상 검사 지원
선천성대사이상 질환의 종류는 페닐케톤뇨증, 갑상선기능저하증, 호모시스틴뇨증, 단풍당뇨증, 갈릭토스혈증, 선천성부신과형성증 이렇게 6가지였는데, 단어들이 모두 처음보는 생소한 것들이었기에 각 질환에 대해서 좀더 알아보았다. 서울아산병원에서 정리한 내용을 참고하면서 표로 한 번 그려보았다.


선천성대사이상 종류

선천성대사이상 종류


알아보면 볼수록 굉장히 무서운 질환인 것 같다. 모르고 넘어가면 발달 장애 뿐만 아니라,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니..😱 출생 후 28일 이내에 위 검사를 할 경우엔 무료로 검사받아볼 수 있으니 오삼이는 문제가 없을지 꼼꼼히 결과를 살펴봐야겠다.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지원
이 검사는 '난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이다. 선천성대사이상과는 달리 모두 무료 지원은 아니다.

[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 지원대상 ]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
👉 다자녀(2명 이상) 가구에서 출생한 신생아는 소득 수준 관계없이 지원

지원 대상에 포함되지 못한 경우, 5~10만원 정도의 검사 비용을 따로 내야 한다. 2023년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기준 중위소득 180% 판정 기준은 아래 표를 참고하자.

2023년 건강보험료 기준중위소득 180% 판정기준


선천성 난청의 빈도는, 양측 고도 난청은 1,000명당 1~2명, 양측 중등도 이상 난청은 1,000명당 5~6명 정도 발생한다. 이는 선천성대사이상 질환보다 훨씬 빈도가 높기 때문에 전 신생아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한다. 난청임을 확인하지 못 할 경우, 아이의 언어, 학습 발달 뿐만 아니라 사회/정서적 발달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렇기에 오삼이도 신청했다
국가 지원으로 무료로 받을 수 있기에 당연히..



추가 검진

위 검사 외에 병원에서 추가로 추천한 검사가 있었는데 그것은 '신생아 눈 종합 검진' 이었다. 예약 확인서에 기재된 가격은 17만원.
.
오삼이를 출산한 수지미래산부인과에서 제공하는 가격이므로 다른 병원과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 15만원 전후로 제공된다고 한다.
눈 종합 검진
신생아의 눈 질환 발견 빈도는 70명 당 1명이라고 한다. 눈 질환의 종류는 선천백내장, 선천녹내장, 망막모세포종, 망막출혈, 미숙아망막병증 등이 있는데, 질환 하나씩만 두고 발생하는 빈도를 보면 비율이 그리 높진 않으나, '눈'이라는 묶음으로 봤을때 하나라도 이상이 있는 경우의 수를 통해 70명 당 1명이라는 수치가 나온듯 싶다.

수지미래산부인과 신생아 눈 종합 검진 브로셔


여러가지 눈 관련 질환 중, 대표적인 것 몇 가지만 알아보았다.

눈 질환 종류


이렇게 관련 내용 살펴보면.. 건강하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혹시나 모를 질환을 미연에 발견해서 어렸을때 치료하는게 맞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동공 확대를 위해 아기 눈에 산동제를 넣는다고 하는데, 이게 참 신경쓰이는 부분이다. 성인도 이렇게 검사한 이후, 물체가 흐리게 보이거나 눈부심이 지속될 수 있다고 하니..😭

👉 산동제 역할: 동공 확장

그렇게 고민하는 과정 속에 오삼이 얼굴을 한 번 더 보고 왔다. 그래서 결정했다!

눈 건강검진은 안하는걸로..!

아내가 찍은 신생아실의 오삼이 얼굴


아직 눈도 못 뜬 아기에게 산동제까지 넣어가면서 검사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일전에 내가 정리했던 '아기의 시각발달'과 관련해서 3개월 시점까지 살펴보고 문제가 있는 것 같으면 그때 검사해야겠다.

👉 아기발달백과 - 생후 3개월 시각발달 정리 내용 일부
아기의 눈에 흰 막이 덮혀있거나 생후 3개월이 되어도 눈 맞춤한다는 느낌이 없으면 소아안과 진료가 필요하다. 선천성 백내장이 있는지 조기에 발견하고, 상황에 따라 수술까지 해야 한다면 전문의의 의견에 따르도록 하자!



2023년 4월 6일의 기록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