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린 아이 증후군


    흔들린 아이 증후군

    육아도 처음, 블로그도 다시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을 무렵, 이웃 분을 통해 '흔들린 아이 증후군'에 대한 단어를 접했다. 그 당시엔 처음 들어보는 단어였기에 검색만 조금 해보고, '아~ 머리가 흔들리면 위험하구나' 정도만 인지하고 넘어갔었다. 그러다가 유모차 구입에 대해 아내와 얘기하면서 아기 시트가 흔들리는지 않는지 앉혀보면서 구입하고 싶다는 얘기도 나눴고, 그 때 다시 '흔들린 아이 증후군'에 대한 단어가 언급되었다. 그냥 단순히 머리를 세게 흔들면 나타나는 현상이겠거니 생각했었는데, 좀더 자료를 살펴보다보니 장시간 차를 타도 발생할 수 있다는 것..! 😵‍💫 그래서 오늘은 이 증후군이 생기는 원인이나 위험요소에 대해 확실히 알아놔야겠다는 생각에 포스팅을 해보았다.

    장시간 운전과 흔들린 아이 증후군 - 구글 검색 결과


    흔들린 아이 증후군

    말 그대로 영유아를 세게 흔들때 발생하는 뇌 손상의 한 유형이다. 우연찮게 한 두번 세게 흔든다고 생기는 현상이 아닌, 의도적으로 흔들때 주로 발생하므로 보통 아동 학대와 연관되어 보고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흔들린 아이 증후군이 생기게 되면, 뇌 세포를 파괴하고 뇌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황에 따라서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뇌 손상은 1세 미만의 아기에게 자주 발생하고, 생후 2개월에서 8개월 사이의 영아가 가장 위험하다고 보고된다. 아기가 오랫동안 우는 이유로, 울음을 멈추게 하려는 의도로 아기를 흔들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


    흔들린 아이 증후군 원인

    일반적으로 아기는 목의 근육이 약해서 머리 무게를 지탱할 수 없다. 뇌 역시 연약한 아기를 그 상태에서 세게 흔들면, 두개골이 안에서 앞뒤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으로 멍이나 붓기, 출혈이 생길 수 있다. 단순한 낙상으로는 발생하지 않고, 양육자의 분노 등으로 인해 아기를 흔들때 생길 수 있는 것이다. 아기가 너무 우는 나머지, 그 스트레스로 인해 아기를 앞뒤로 흔드는 행위..🥲 (분노조절장애와 연관된듯 싶다..) 흔들린아이증후군 국립센터 데이터 기준, 미국에서는 연간 1,300건 정도 흔들린 아이 증후군이 발생된다고 한다. 

    흔들린 아이 증후군 원인 - © Cleveland Clinic


    흔들린 아이 증후군 위험 요소

    흔들린 아이 증후군이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은 양육자의 스트레스이다. 육아로 인해 몸과 마음이 지쳐있는데 아기가 계속 울어서 그만 울라고 흔드는 것.. 그 외에도 아이에 대한 비현실적인 기대, 가정 폭력, 알콜 및 약물 남용, 불안정한 가족 상황, 우울증, 어린 시절의 학대 등 여러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여성보다 남성이 흔들린 아이 증후군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흔들린 아이 증후군 증상 및 합병증

    흔들린 아이 증후군은 장기적인 뇌 손상부터 시작해서,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고 알려져있다. (평균 25% 정도는 사망한다고 보고되어있다) 이 뇌 손상의 증상과 이후 이어질 수 있는 합병증은 아래와 같다.
    • 경막하 혈종: 뇌 표면과 경질막(뇌를 둘러싼 단단한 외막) 사이에 혈액이 고이는 현상
    • 지주막하출혈: 뇌와 지주막(뇌를 둘러싸고 있는 거미줄 같은 막) 사이의 출혈
    • 직접적 뇌 외상: 뇌가 두개골의 내부 표면을 강타할때 발생함
    • 뇌 손상: 흔들리는 동안 호흡을 멈추게 될 경우 산소 부족으로 발생함
    • 뇌 세포 손상: 손상된 신경 세포로 인해 뇌의 산소 결핍을 추가하는 화학 물질 방출시 발생함
    • 망막 출혈: 망막 뒷 쪽의 출혈
    • 목 및 척추 손상: 강한 흔들림으로 인해 경추 신경 손상
    • 골절: 두개골 골절 외에도 갈비뼈, 쇄골, 팔, 다리 골절 등도 포함됨

    흔들린 아이 증후군으로 발생 가능한 증상 - 서울아산병원


    위의 경우처럼 바로 눈에 띄거나 금방 알아차릴 수 있는 심각한 증상도 있으나, 시력 문제(시력 상실 가능성 증가), 비정상적인 신체 감각, 지적 장애 등 장기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다.

    흔들린 아이 증후군 예방법

    그럼 이렇게 위험한 흔들린 아이 증후군은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 가장 중요한 것은 양육자가 화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말다툼으로 인해 화가 나는 상황에서 아이를 안고 있을 경우 특히나 위험할 수 있다. 관련해서 몇 가지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 아기가 울거나 화낼 경우 흔들지 않아아 함 (부드럽게 흔들더라도 아기 입장에선 과하게 느껴질 수 있음)
    • 말다툼을 하는 상황에서 아기를 안고 있지 않아야 함
    • 아기에게 화가 나면 차라리 침대에 눕히고 방을 나옴
    • 너무 힘들면 지인에게라도 부탁해서 아기를 잠깐 맡김
    • 화를 다스리기 위한 상담 혹은 육아 수업에 참여함
    대략 이 정도가 있을 것 같은데.. 결국 화가 나더라도 아기에게 풀면 안된다는 것이 주요 포인트 !!
    그 외에도, 처음 포스팅 작성할때 위에 언급한 장시간 운전 등의 상황에서도 정말 생각지 못하게 흔들린 아이 증후군이 생길 수 있으니 운전할때 카시트를 아이에게 꼭 맞추도록 하고, 혹시 카시트가 조금 큰 경우 머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수건 등을 이용해서 고정시켜주도록 하자.
    -
    흔들린 아이 증후군이 정말 위험한, 아이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사안임을 인지하고 여러 단체에서 성명서를 내기도 했다. 관련해서 자세히 알고 싶은 분이 있다면, 흔들린아이증후군 국립센터 사이트를 방문해서 관련 내용을 한 번 확인해봐도 좋을 듯 싶다.



    2023년 5월 22일의 공부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