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발달 계산기


    성장발달 계산기


    나율이가 태어난지 52일!! 50일이 지났음을 기념하여 나율이가 얼마나 자랐는지 기록해보려고 한다. 잘 자라고 있는지, 다른 아기들과 비교했을때 어떨지 등 궁금하기도 했기에.. 일단 나율이의 체중부터 측정해보았다. 아기 전용 체중계는 없어서, 나율이를 들고 체중계에 올라갔다가 나머지를 빼는 방식으로 측정했다. 기저귀랑 입은 옷 무게까지 제외하고나니 4.7kg 인 나율이! 처음 태어날때 3.22kg 로 시작했는데, 지금은 1kg 넘게 컸다. 잘 자고 있네~🥰 그리고 다음으로 측정한 것은 신장과 머리 둘레였다. 역시나 전문 측정도구가 있는 것이 아니었기에~ 집에 있는 줄자와 이케아의 종이줄자를 활용해서 측정해보았다. (처음엔 뜨개질하는 실로 측정했는데, 탄성이 있어서 바꿨다..😅)

    성장발달 측정


    [ 52일차 나율이 성장 ]
    • 체중: 4.7kg
    • 신장: 55cm
    • 머리둘레: 37.5cm

    측정계산기

    자.. 이렇게 내 아이의 성장을 측정했는데, 그냥 알고만 있으면 될까? 다른 아이들과 비교해볼 수는 없을까? 아이의 성장에 관심있는 부모라면 다들 한 번쯤 생각해봤을 것이다. 그래서 오늘은, 이렇게 측정한 정보를 바탕으로 우리 아이의 성장 상태를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아이성장발달로 검색해보니, 국민건강영양조사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있었다. 성장도표 ➡️ 측정계산기를 클릭하면 아래 썸네일의 오른쪽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측정계산기 탭으로 가보면, 성별 및 신장, 체중 그리고 머리둘레를 입력하도록 되어있다. 생년월일과 측정일도 필수로 기재해야 하는데, 그렇게 입력을 모두 하고나면 표준치를 기준으로한 그래프가 나온다. 

    성장발달 측정


    나율이의 키, 체중, 신장대비 체중, 머리둘레는 모두 P50(중앙선)에 위치해있었다. 굿굿..👍👍


    측정계산기 신뢰도

    물론 정부에서 제공하는 사이트이니 믿고 비교할만한 자료겠지만, 자료를 어떻게 수집했는지 출처가 어딘지 궁금해서 관련 내용을 조금 더 찾아보았다. 예전엔 1967부터 약 10년마다 성장도표를 만들어서 발표했으나, 2007년 성장도표 기준의 몇 가지 한계점으로 인해 자료 보완 후 2017년에 새로 재구성한 버전이라고 되어있었다.

    [ 2007년 성장도표 제한점 ]
    1. 모유수유아와 조제분유수유아를 모두 포함하여 산출되어 모유수유아의 표준치로 활용되기엔 제한점이 있음
    2. 2세 이상의 신장 성장도표는 저신장의 과소평가 가능성이 있고, 체중 및 체질량지수는 비만 인구가 이미 증가된 2005년 자료 활용으로 비만 분율의 과소평가 가능성이 있음
    3. 성장도표와 해설집이 어렵게 제작되어 있어 활용도가 낮음 

    이러한 이유로 2017년 기준으로, 소아청소년 성장도표를 제정하였다. 3세 미만에 대한 자료는, 모유수유아의 표준치로 활용 가능하도록 WHO Growth Standards를 적용하였고, 3~18세의 경우 2007 성장도표와 동일한 자료를 활용하여 (신장 성장도표는 상향조정, 비만 선별 기준은 하향조정) 재산출했다고 되어있다. 이 내용을 보고, 분유를 먹이는 나율이에게는 크게 의미가 없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잠깐했지만, 그래도 이것말고는 비교할 자료가 없었기에 아쉬운대로 주기적으로 측정해서 비교해볼 생각이다.

    3세 미만 자료에 활용된 아동 성장기준 - WHO


    WHO MGRS(Multicentre Growth Reference Study)는 전 세계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성장 곡선을 만들기 위해 1997년~2003년 사이에 연구를 진행했고, 다양한 민족 및 문화적 배경을 가진 약 8,500명의 어린이로부터 1차 성장 데이터를 수집했다고 되어있다. (대상 국가: 브라질, 가나, 인도, 노르웨이, 오만, 미국) 이 성장 곡선은 출생부터 5세까지의 모든 어린이의 생리학적 성장을 잘 설명하는 단일 국제 표준을 제공하고, 모유수유하는 아이의 성장 및 발달의 표준 모델로 확립할 것을 기대한다고 기록되어있다. 


    측정계산기 제공사이트

    위 국민건강영양조사 사이트에서 제공해주는 측정계산기가 충분히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은 알 수 있었다. 계산 결과 역시 보통 아이들과 다르지 않으니 만족한다는 점도 포함! 하지만, 조금 아쉬운 부분이 있다면 크게 두 가지 정도가 있었다.
    • 그래프 화면이 예스럽고, 백분율이 눈에 딱 안 들어온다는 점
    • 사이트 처음 접속할때 속도가 느려서 인터넷이 뻗은 줄 알았다는 점
    그래서 혹시 다른 사이트도 있을지 좀더 찾아보았다. 아래 두 사이트 모두 백분위를 제공하고 있지만, 백분위 값은 미세하게 차이가 있긴 하니 감안해서 보면 좋을 것 같다. 
    -
    네이버 성장발달계산기

    PC로 블로그를 작성하다보니 처음엔 발견 못했는데, 모바일 화면으로 검색해보니 네이버에서도 '아기성장발달 계산기'를 제공하고 있었다. 머리둘레가 없다는 것과 키와 체중에 대한 백분위만 심플하게 나와서 뭔가 조금 아쉬웠지만, 간단하게 우리 아이의 백분율이 어느 정도되는지 기억하기는 좋을 것 같았다.
    네이버 성장발달계산기


    -
    건강계산기

    또 다른 곳에 건강계산기를 제공하는 사이트가 있었는데, 이곳은 백분위도 직관적으로 제공되어 좀더 편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프 역시 깔끔하게 제공되니, 궁금한 분들은 아이 성장 수치를 측정하고 입력해보면 좋을 듯 싶다.

    건강계산기

    처음엔 뜨개질하는 실로 했는데 탄성때문에 실패~! 😅


    오늘 이렇게 50일을 기점으로 나율이의 성장 상태를 한 번 살펴보았다. 이렇게 주기적으로 성장을 확인하고 기록하는 것도 육아를 함에 있어서 의미있는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머리둘레의 경우, 뇌 크기를 반영하기에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줄어드는 경우는 소아청소년과를 방문해야 할 수도 있으니 오늘 측정한 방식과 동일하게 주기적으로 측정해주어야겠다.

    나율이의 성장발달



    2023년 5월 26일의 측정
    Previous Post Next Post